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축의금 조의금 봉투 쓰는법, 결혼식장 장례식장 예절

by 부자가 될 사람 2024. 1. 3.
반응형

축의금 봉투 쓰는법
축의금 & 조의금 봉투 쓰는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결혼식장 축의금 봉투 쓰는 법과 장례식장에서 조의금 봉투 쓰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추가로, 결혼식장 및 장례식장 기본예절에 대해서도 포스팅 예정이니 많이 관심 부탁드립니다.

 

 
 

목차

1. 축의금 봉투 쓰는법

2. 결혼식장 기본예절

3. 조의금 봉투 쓰는 법

4. 장례식장 기본예절

 

시간적 여유가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여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 버튼을 누르면 해당 사이트로 바로 이동됩니다.

결혼식장 기본 매너 참고영상

 

1. 축의금 봉투 쓰는 법

축의금 봉투 쓰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앞면은 아래와 같이 총 5가지 문구를 넣을 수 있습니다.

축의금 봉투 쓰는법
축의금 봉투 쓰는법

1) 축결혼 (祝結婚) : 결혼(結婚)을 축하(祝賀)한다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신랑 측에 축의금을 낼 때 사용하는 한자입니다. 요즘은 신랑/신부 구분 없이 두루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축화혼 (祝華婚) : 마찬가지로 결혼(結婚)을 축하(祝賀)한다는 뜻으로, 신부 측에 축의금을 낼 때 사용하는 한자입니다.

3) 축성 전 (祝盛典) : 성대(盛大)한 의식(儀式)을 축하(祝賀)한다는 뜻입니다.

4) 축성혼 (祝聖婚) : 성(聖)스러운 결혼(結婚)을 축하(祝賀)한다는 뜻입니다.

5) 하의 (賀儀) : 축하(祝賀)하는 예식(禮式)이라는 뜻입니다.

위 5가지 모두 결혼을 축하한다는 문구이며 본인의 취향에 맞게 골라서 작성하시면 됩니다. 보통 결혼식장에 가면 봉투가 배포되어 있는데 한자성어로 적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빈 봉투에 직접 해당 문구를 한자로 작성해서 축하해 준다면 당사자에게는 더 특별한 의미로 전달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뒷면은 가장 많이 헷갈려하는 부분인데요, 축의금을 내고 나서도 찜찜한 마음을 느끼지 않기 위해 확실히 보고 작성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남들이 모를 때 혼자 알고 남들에게 알려주는 사람이 되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뒷면 작성 요령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앞면에 축하의 의미를 담은 문구를 작성하였다면, 뒷면에는 어떤 사람이 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소속과 이름을 작성해야 합니다. 사회 초년생 또는 결혼식에 자주 가보지 못한 많은 사람들이 오른쪽에 써야 할지, 왼쪽에 써야할지, 가로로 써야할지, 세로로 써야할지 많이 헷갈려합니다.

축의금 봉투 쓰는법
축의금 봉투 쓰는법

이름은 왼쪽 하단의 가장자리에 세로로 작성하고 소속이 있다면 이름의 오른쪽에 세로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봉투의 입구는 접지 않고 그대로 개봉되어 있는 상태로 전달해 주시면 됩니다. (장례식 조의금 전달과 반대입니다.)

 

아래 버튼을 누르면 해당 사이트로 바로 이동됩니다.

축의금 봉투 쓰는법 관련 영상

 

2. 결혼식장 기본예절

대부분 결혼식장에 가게 되면 축의금으로 얼마를 내면 되는지가 가장 먼저 떠오를 것입니다. 요즘은 결혼식장 비용 및 뷔페 가격이 많이 올라서 5만 원을 내기도 애매한 상황이 되었는데요.

그래도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Give and Take'입니다. 시기가 언제든 상관없이, 내 결혼식 때 낸 금액만큼 돌려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만약 아직 결혼을 하지 않았다면, 아래의 정리된 내용을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1) 친하지는 않지만 관계 유지를 해야 될 때 (직장 동료 외)

: 5만 원 (직접 방문 또는 계좌이체)

 

2) 예식장에 직접 방문할 정도로 사이가 돈독한 경우 (학교 동창 외 청첩장을 직접 만나서 받을 경우)

: 10만 원 (참석이 어려울 경우 계좌이체 후 연락 한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3) 각별한 친구, 지인 또는 부부가 모두 친할 때

: 15만 원 ~ 20만 원 (부부동반)

 

4) 죽마고우 (10년 지기 ~ 20년 지기 이상)

: 30만 원

 

결혼식 축의금은 어차피 다 돌려받는 것입니다. 만약 낸 금액에 비해 돌아오는 금액의 액수가 적다면, 특별한 이유를 설명해주지 않는 이상 그 친구와의 관계는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게 좋습니다.

결혼식 축의금 비용은 10만 원 단위 또는 홀수 단위로 내는 것이 맞다고 하니 짝수 단위로 내지 않도록 주의 바랍니다. 

 

결혼식은 신랑과 신부가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는 중요한 의식이기 때문에, 결혼식에 참석하는 하객들도 예절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혼식장 예절은 크게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옷차림

결혼식은 축하의 자리이기 때문에, 밝고 단정한 옷차림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신부와 신랑의 부모님을 비롯한 어른들께는 깍듯한 예의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인사

결혼식에 참석하면, 먼저 신랑과 신부에게 축하 인사를 합니다. 축하 인사는 "축하합니다. 행복하세요."와 같이 간단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신랑과 신부의 부모님께도 인사를 드리는 것이 예의입니다.

3. 식사

식사 시간에는 먼저 신랑과 신부에게 건배를 제의합니다. 건배는 "축하합니다. 행복하세요."와 같이 간단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식사 중에는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4. 퇴장

결혼식이 끝나면, 신랑과 신부에게 작별 인사를 합니다. 작별 인사는 "축하합니다. 행복하세요. 잘 지내세요."와 같이 간단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결혼식장에 쓰레기를 남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결혼식장 예절을 지키는 것은 신랑과 신부의 결혼을 축하하고, 결혼식의 분위기를 돋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결혼식에 참석할 때는 이러한 예절을 꼭 지켜서, 신랑과 신부 그리고 다른 하객들 모두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마지막으로, 결혼식 시작 시간보다 최소 30분 전에는 와서 인사를 건네는 것이 좋습니다.

뒤늦게 도착해서 결혼 당사자가 내가 왔는지 오지 않았는지도 모르게 결혼식장에 들어가게 된다면, 그보다 섭섭한 것은 없을 테니까요! 그리고 결혼식장에 와서 축의금만 내고 바로 뷔페 가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정말 친한 사이가 아니더라도, 누군가의 일생일대의 단 한 번의 날을 그렇게 예의 없게 가버리는 것은 잘못된 행동입니다. 최소한 예식의 시작까지는 보는 것이 기본 예의라고 생각합니다.

 

3. 조의금 봉투 쓰는 법

조의금 봉투 쓰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의금 봉투 쓰는법
조의금 봉투  쓰는법

우선 앞면은 아래와 같이 총 6가지 문구를 넣을 수 있습니다.

1) 부의 (賻儀) : 초상집(初喪)에 부조(扶助)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物品)을 의미합니다.

2) 근조 (謹弔) : 삼가 조상(弔喪)한다는 뜻입니다. 근조화환 많이 들어보셨죠?

3) 추모 (追慕) : 죽은 사람을 사모(思慕)한다는 뜻으로, 뉴스에서 보면 '추모 행렬이 이어진다.'등의 문장을 많이 보셨을 것입니다.

4) 추도 (追悼) : 죽은 사람을 생각하여 슬퍼한다는 뜻입니다.

5) 애도 (哀悼) : 사람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6) 위령 (慰靈) : 죽인 이의 영혼을 위로한다는 뜻입니다.

결혼식과 마찬가지로, 보통 장례식장에 가면 봉투가 배포되어 있는데 한자성어로 적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빈 봉투에 직접 해당 문구를 한자로 작성해서 위로해 준다면 당사자에게는 더 특별한 의미로 전달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음은 뒷면 작성 요령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앞면에 위로의 의미를 담은 문구를 작성하였다면, 뒷면에는 어떤 사람이 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소속과 이름을 작성해야 합니다. 사회 초년생 또는 결혼식에 자주 가보지 못한 많은 사람들이 오른쪽에 써야 할지, 왼쪽에 써야할지, 가로로 써야할지, 세로로 써야할지 많이 헷갈려합니다. 아래의 예시를 통해 실수하지 않도록 주의 바랍니다.

조의금 봉투 쓰는법
조의금 봉투 쓰는법

이름은 왼쪽 하단의 가장자리에 세로로 작성하고 소속이 있다면 이름의 오른쪽에 세로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장례식장에서 조의금을 낼 때에는 결혼식과는 반대로 봉투의 입구를 접어서 막는 것이 기본입니다.

 

아래 버튼을 누르면 해당 사이트로 바로 이동됩니다.

조의금 봉투 쓰는법 관련영상

 

4. 장례식장 기본예절

조의금의 액수는 고인과의 관계나 상주 측의 관계에 따라서 다르며 보통은 조문객 개인의 판단에 따라 액수를 결정하시게 됩니다. 주로 5만 원 이상의 금액을 주는 경우가 많으며 특별한 관계나 상황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까운 친척이나 친구일 경우에는 5만 원이나 10만 원 사이의 금액을 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물론 정해진 금액은 없으며 관계에 따라서 조문객이 내고 싶은 만큼을 낼 수 있습니다.

조문객 개인이 조의금을 직접 전달하는 방법으로 장례식장에 도착한 조문객은 빈소에서 조의금 봉투를 받게 되며 이때 조문객의 이름을 적고 봉투에 조의금을 넣어 드립니다. 이때 꼭 현금이 필요하며, 방명록을 작성하시는 것도 잊으면 안 됩니다. 아니면 사전에 유족의 계좌로 조의금을 계좌이체로 송금하고 조문을 오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계좌이체를 하고 조문 오셨을 때는 방명록을 작성하실 때, 이미 조의금을 보내드렸다고 말씀을 드려야 합니다. 조의금을 꼭 직접 전달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일부 조문객들은 예전처럼 직접 빈소에서 전달하지 않고 미리 계좌이체로 보내드린 후에 조문 오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혼식과 마찬가지로 아래의 정리된 내용을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단,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장례식의 경우 결혼식보다는 조금 더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축하는 못하더라도 위로는 해야 되는 게 사람 된 도리이기 때문입니다.

1) 친하지는 않지만 관계 유지를 해야 될 때 (직장 동료 외)

: 5만 원 (직접 방문 또는 계좌이체)



2) 예식장에 직접 방문할 정도로 사이가 돈독한 경우 (학교 동창 외 청첩장을 직접 만나서 받을 경우)

: 10만 원 (참석이 어려울 경우 계좌이체 후 연락 한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3) 각별한 친구, 지인 또는 부부가 모두 친할 때

: 15만 원 ~ 20만 원 (부부동반)



4) 죽마고우 (10년 지기 ~ 20년 지기 이상)

: 30만 원

 

조의금 봉투는 빈소에 들어서면 입구에서 바로 낼 수 있도록 방명록과 함께 준비되어 있고 장례식에 참석한 사람들이 금액을 내어 유족의 마음을 이해하고 슬픔에 함께 하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조의금 봉투에 이름을 쓰는 것은 조문객이 조의금을 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먼저 봉투에 조문객의 이름을 적고 소속된 회사의 명을 적거나 적지 않을 수 있으며, 이름은 국문으로 한글로 작성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조문객의 이름을 쓸 때에는 글씨가 잘 보이도록 선명하게 써야 합니다. 필기체가 아니라 독서체나 정자체로 명확하게 표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름을 쓴 조의금 봉투는 부의금 함에 넣어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러고 나서 방명록까지 적어주시면 조문을 하실 수 있습니다.

장례식은 고인을 떠나보내는 마지막 의식이기 때문에, 장례식에 참석하는 조문객들도 예절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례식장 예절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 옷차림

장례식은 조의를 표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검은색이나 짙은 색의 단정한 옷차림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상주나 유족을 비롯한 어른들께는 깍듯한 예의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의금 봉투 쓰는법

2. 인사

장례식에 참석하면, 먼저 상주나 유족에게 조의를 표합니다. 조의를 표할 때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와 같이 간단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상주나 유족의 부모님께도 인사를 드리는 것이 예의입니다.

3. 절

상주나 유족을 만나면, 예를 갖추어 절을 합니다. 절은 고인에 대한 존경과 애도를 표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정중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의금 봉투 쓰는법조의금 봉투 쓰는법

4. 헌화 및 분향

헌화 및 분향은 고인을 추모하는 행위입니다. 헌화는 꽃을 바치는 행위이고, 분향은 향불을 피우는 행위입니다. 헌화 및 분향을 할 때는 정중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식사

식사 시간에는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또한, 식사 중에는 고인을 추모하는 마음을 가지고 식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6. 퇴장

장례식이 끝나면, 상주나 유족에게 작별 인사를 합니다. 작별 인사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잘 지내세요."와 같이 간단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장례식장에 쓰레기를 남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장례식장 예절을 지키는 것은 고인을 추모하고, 유족을 위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장례식에 참석할 때는 이러한 예절을 꼭 지켜서, 고인과 유족 모두에게 예의를 갖추는 모습을 보여 주세요.

 

아래 버튼을 누르면 해당 사이트로 바로 이동됩니다.

보건복지부 문상 절차 바로가기

 

축의금 봉투 쓰는법축의금 봉투 쓰는법축의금 봉투 쓰는법
축의금 봉투 쓰는법축의금 봉투 쓰는법축의금 봉투 쓰는법
축의금 봉투 쓰는법축의금 봉투 쓰는법축의금 봉투 쓰는법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